컨테이너
◎ 톰캣 : 서블릿 컨테이너, 웹 서버....
⇨ Servlet 클래스를 new 해준다.
⇨ FrontController 등
⇨ web.xml
◎ 스프링 컨테이너 : POJO 클래스를 new 해준다.
⇨ DAO, DTO, Action(Controller) 등
⇨ 코드내에서 new 역할을 담당하는 컨테이너이다.
⇨ applicationContext.xml
◎ 루트(최상위) 컨테이너
⇨ .jar(라이브러리)를 관리해준다.
⇨ 설정 관련 컨테이너이다.
⇨ pom.xml
프로젝트 설정
◎ Name : 프로젝트 이름
◎ Type
⇨ Gradle : 스프링부트 기반 라이브러리 제공
⇨ Maven : 자바 기반의 라이브러리 제공
◎ Pakaging
⇨ JAR : 자바 아카이브
⇨ WAR : 웹 어플리케이션
◎ Group : 그룹명이나 회사명이 들어감
pom.xml 의존성 추가
◎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클릭하면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알아서 주입해준다.
◎ 다만 MsSQL와 같은 최신 라이브러리들은 개발자가 추가로 설정해야한다.
◎ 톰캣을 내장서버로 제공하고있음을 확인
'프레임워크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레임워크] <Spring>〈Maven〉pom.xml 설정 개선 feat. 어노테이션 (0) | 2024.02.28 |
---|---|
[프레임 워크] <Spring>〈Maven〉application.xml 생성 (0) | 2024.02.28 |
[프레임워크] <Spring>〈Maven〉DI (0) | 2024.02.27 |
[프레임워크] <Spring>〈Maven〉xml (0) | 2024.02.26 |
[프레임워크] <Spring>〈Maven〉BeanFactory (0) | 2024.02.26 |